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오늘 당정이 내년도 예산안을 논의했습니다. <br> <br>전통시장 등에서 쓸 수 있는 온누리 상품권, 당정은 발행 규모를 5조 5천억 원으로 늘리겠다면서, 역대 최대 규모고, 시장 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될 거라며 큰 기대를 보였는데요. <br> <br>그 온누리 상품권, 정작 현장에선 불법이 판을 치고 있습니다. <br> <br>예산 쏟아붓기 전에 제대로 쓰는지 관리부터 필요해보입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, 백승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방금 우체국에서 산 온누리상품권입니다. <br> <br>정부가 온누리 상품권을 역대 최대 규모로 늘리기로 했죠. <br> <br>하지만 기존에 발행된 상품권이 엉뚱한 곳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발행 규모만 늘릴 게 아니라 사후 관리가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<br> <br>서울 남대문 시장 지하 상가. <br> <br>위스키를 다른 곳보다 약 10% 싸게 살 수 있어 '위스키 성지'로 통합니다. <br> <br>할인의 비결은 바로 온누리 상품권입니다. <br> <br>[A 주류 점포 관계자] <br>"(온누리 상품권 되나요?) 지류(종이)만 받아요. (지류는 괜찮나요?) 원래는 안 되는데 하면 되죠." <br> <br>종이 상품권은 현금결제처럼 흔적이 남지 않다보니 업주 입장에서는 매출액을 줄여 세금도 덜낼 수 있는 겁니다. <br> <br>[B 주류 점포 관계자] <br>"종이로 받을게 종이로. 모바일은 안 되고 종이로. 모바일은 그대로 이게 신고가 들어가기 때문에 안 되고." <br> <br>현행법상 주류 판매점에선 온누리 상품권을 쓸 수 없지만 단속의 눈을 피해 버젓이 거래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취재를 위해 찾아간 주류 판매점 6곳 모두 마찬가지. <br> <br>온누리 상품권을 쓸 수 있는 다른 업종으로 신고한 뒤 술을 파는 불법 영업도 횡행합니다. <br> <br>이번에 정부가 가맹제한 업종을 줄이기로 했지만, 주류는 여전히 제한 업종입니다. <br> <br>한 농산물 도매시장에서는 온누리 상품권을 놓고 실랑이가 벌어집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(이거 이거 좀 받아줘야 되겠는데 상품권.) 아 아시잖아요. 우리 상품권 바꾸기 힘들다는거. 어떻게 방법이 없어요." <br> <br>도매시장에서는 온누리상품권을 쓸 수 없는데, 무작정 상품권을 내미는 사람들이 있습니다. <br> <br>도매 가게에서 나온 온누리 상품권 뭉치입니다.<br> <br>사흘 만에 250만 원 어치가 쌓인 겁니다.<br> <br>[박성옥 / 도매 상인] <br>"당신 이거(온누리상품권) 안 받으면 나 거래 안 할 거야. 그렇게도 심지어 나오니까." <br> <br>이렇게 유통되는 온누리상품권은 대부분 '깡'이란 이름으로 불법 현금화가 이뤄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상품권을 부정유통하면 최대 20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되지만 근절 방안은 되지 못합니다. <br> <br>전통시장과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확대되고 있는 온누리 상품권. <br> <br>'부정 거래'를 막을 수 있는 실질적 제도 마련이 필요하단 지적입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, 백승우입니다. <br> <br>PD : 장동하 송시원 <br>작가 : 신채원<br /><br /><br />백승우 기자 strip@ichannela.com